TIL/경제금융

빅맥지수가 햄최몇을 의미하는 줄 알았던 나

ujum 2024. 10. 22. 00:07
728x90

금융, 상식 공부 3일 벼락치기 시작해봅니다. 무식타파

 

 

📖 2025 금융권 채용대비 통통한 IT · 디지털 상식

 

[전자책]2025 금융권 채용대비 통통한 IT · 디지털 상식 - 예스24

스마트폰과 인터넷이 발달함에 따라 금융환경에도 많은 변화가 시작되었다. 대다수의 금융권에서는 IT · 디지털 분야의 인재 채용을 꾸준히 실시하고 있으며, 지원자가 기본적인 지식을 갖추고

www.yes24.com

 

 

금융권에 IT, 디지털을 준비하시는 분들에게 좋을 것 같습니다. 전공공부도 함께 훑어보고자 ebook으로 구매했습니다. PART 8 최신 디지털/일반상식 중 일반 상식에 대해 재밌어 보이고 눈에 띄는 용어를 먼저 보겠습니다.

 

 

🏦 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 700선

 

경제금융용어 700선 | 일반인(상세) | 경제교육 | 동영상 | 멀티콘텐츠 | 한국은행 홈페이지

내용

www.bok.or.kr

 

2가지를 참고해서 용어 중심으로 공부해보겠습니다.

 

 


 

 

 

 

빅맥지수 (Big Mac Index)

일물일가(一物一價, law of one price) 원칙을 전제로 전 세계 120개국에서 판매되는 맥도날드 빅맥 가격을 달러로 환산하여 미국 내 가격과 비교해 매년 발표하는 지수.

 

비슷한 개념 : 스타벅스 라테 지수, 아이패드 미니 지수...

 

구매력 평가설(purchasing power parity)

'하나의 통화로 환산한 세계 각국의 물가수준이 같아지게 하는 환율', 장기적으로 각국의 환율 수준은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구매력에 따라 결정된다는 것. 자유무역으로 인한 차익거래가 일어나고 있기 때문에 가능.

 

 

 

빅블러 (Big Blur)

사회 변화 속도가 빨라지면서, 기존 산업들의 경계가 모호해지는 현상

  • Blur : 혁신적인 변화로 인해 기존에 존재하는 것들의 경계가 허물어 지는 것(📗 스탠 데이비스 블러현상)
    • 물리적으로, 블러 현상이란 변화의 속도가 너무 빨라 경계가 뒤섞여 흐릿해지는 상태 (블러 현상=속도×연결성×무형적 가치)
  • 핀테크 : 온.오프라인 융합 서비스, 대표적인 빅블러 사례

 

빌딩증후군 (SBS; Sick Building Syndrome)

빌딩에서 일하거나 거주하는 사람에게 집단으로 발생하는 신체적, 정신적 증상 (두통, 눈 가렵따갑, 코 시큰거림, 잦은 기침, 무력감...) 

  • 건축자재나 사무용품 같은 것에서 방출되는 유해물질, 세균, 곰팡이와 같은 실내 공기 속의 오염물질로 인한 것이기 때문에 대체로 실외로 나오면 증상이 나아짐.

 

사이드 카 (Side Car) 😶‍🌫️

선물시장이 급변할 경우, 현물시장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함으로써 현물시장을 안정적으로 운용하기 위한 관리제도

 

1. What is 현물, 선물

  • 현물시장 (Spot Market)
    • 의미 : 실제로 물건(자산)을 사고파는 시장, 현재!
    • 거래 시점 : 거래가 성사되면 즉시 대금 지급과 물건의 인도가 이루어짐
    • 예시 : 주식시장, 농산물 시장.. (주식을 현물시장(코스피,코스닥)에서 사면 돈을 바로 지급하고 주식 소유권을 즉시 넘겨받음)
  • 선물시장 (Futures Market)
    • 의미 : 미래의 일정 시점에 상품이나 자산을 정해진 가격에 사거나 팔기로 약속하는 시장
    • 거래 목적 : 주로 위험 회피(Risk Hedge)나 투기를 위해 사용
      • 위험 회피 : 자산이나 투자에서 발생할 수 있는 미래의 불확실한 손실 위험을 줄이거나 상쇄하기 위해 사용하는 전략, 기업이나 투자자들이 가격 변동, 금리 변화, 환율 변동 등으로 인한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활용
    • 예시 : 농부가 밀 가격이 하락할까 봐 미리 정해진 가겨에 팔기로 계약, 투자자가 금값이 오를 것을 예측하고 미리 금 선물을 사두는 경우
    • 주요 특징 : 실제 물건이 아닌 계약을 사고팜. 선물 계약은 주식, 금, 석유 같은 다양한 자산에 걸쳐있음

 

2. 현물시장과 선물시장의 차이

  현물시장(Spot Market) 선물시장(Future Market)
거래 시점 즉시 (즉시 인도, 즉시 결제) 미래 일정 시점에 결제와 인도
거래 대상 실제 상품이나 자산 계약 (미래 가격에 대한 약속)
주요 목적 자산 소유권 이전 리스크 관리 or 투기

 

 

3. 사이드카 다시 보기

오토바이 옆에 붙은 side car 에서 유래 (출처: ChatGPT)

 

사이드카란 ? 주로 주식시장에서 가격이 급등 또는 급락할 때 사용되는 제도

  • 오토바이 == 선물시장 : 빠르게 움직이고 변동성이 큰 선물시장
  • 사이드카 == 현물시장을 보호하는 제도, 오토바이가 불안정하게 움직일때 사이드카가 탑승자를 보호하는 것 처럼 현물시장을 안정시키는 역할

 선물시장의 변동이 현물시장에 미치는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일시적으로 프로그램 매매를 멈추는 제도(⚠️ 5분간 정지!, 하루에 한번만 가능, 장종료 40분전에는 발동 불가)

  ➡️ 투자자들이 더 신중하게 대응할 시간을 주며, 시장의 혼란을 막는 역할

 

 

4. 사이드카 발동사례

  • 브렉시트 투표(2016)
    • 영국의 EU 탈퇴로 글로벌 증시가 급락하면서, 코스닥 시장이 6.19% 하락하며 사이드카 발동
  • 코로나19 팬데믹 선언(2020)
    • 코스피 지수가 급락하며 8년만에 사이드카 발동
  • 한-미 통화 스와프 체결(2020)
    • 통화 스와프 발표로 시장이 급등하면서, 코스피와 코스닥 양쪽에서 사이드카 발동
    • 사이드카가 급락뿐만 아니라 급등 상황에서도 발동될 수 있음을 보여줌

 

서킷브레이커 (CB; Circuit Breaker)

주식 시장에서 주가각 급등 / 급락하는 경우 주식매매를 일시적으로 정지하는 제도 == 주식거래 중단제도

 

응?

더보기

❓ 사이드카와 서킷브레이커의 차이

 시장이 크게 흔들릴 때 각각의 상황에 맞게 작동하여 투자자 보호와 시장 안정성을 도모한다는 점에서는 공통점이 있지만, 적용 범위와 대상이 다릅니다. 서킷 브레이커가 전체 시장을 멈춘다는 면에서 강력한 조치라고 생각이 됩니다.

 

  사이드카 서킷브레이커
대상 프로그램 매매(선물-현물간 매매) 시장 전체(코스피나 코스닥 전체)
발동조건 선물시장의 급변상황 주가지수 전일 대비 일정 비율(8%, 15%, 20%) 이상 변화 시
중단시간 5분간 프로그램 매매 제한 일정 시간 동안 전체 거래 정지
목적 현물시장에 대한 선물시장의 영향 완화 시장 전반의 패닉 방지

 

 

사이버 리스크 (Cyber Risk)

사이버상에서 생기는 예기치 못한 사고로 인해 기업이 부담하게 될 유.무형의 비용을 발생시키는 위험

  • 예시
    • 랜섬웨어 공격, 피싱(phshing), Dos, DDos, Zero-Day 취약점, 내부자위협(Insider Threats)
  • 비용
    • 유형의 비용 : 자금 분실, 컴퓨터시스템 손상, 악성코드 감염, 네트워크 폐쇄에 다른 조업중단, 고객정보 및 디지털자산의 분실, 정보유출에 따른 법적 및 피해자 보상
    • 무형의 비용 : 고객 이탈, 신뢰도 하락, 브랜드 이미지 손상, 핵심기술 유출에 따른 경쟁우위 훼손
  • 대책 : 사전대응(secure), 지속적 경계(vigilant), 신속한 복구능력(resilient) 확보

 

사이버 먼데이 (Cyber Monday)

업체들이 연휴 마치고 일상으로 복귀한 고객들을 상대로 온라인에서 할인 행사를 벌이는 날

  • 주말 동안 매장에서 본 제품을 월요일에 온라인으로 구매하는 경향 활용
  • 미국의 추수감사절 다음 월요일에 열리는 온라인 쇼핑이벤트(2005 미국 시작! ~ 영국, 독일, 스페인 등에서도 마케팅에 적극 활용) ➡️ Cyber week로 확장하기도

 

사전지정운용제 (Default Option)

가입자가 직접 운용할 수 있는 퇴직연금이 별도의 운용지시 없이 방치되고 있을 경우, 회사와 근로자가 사전에 정한 방법으로 퇴직연금이 운용되도록 하는 제도 

  • 미국, 영국, 호주 등 영미권 국가에서 선제 도입 : 퇴직연금의 장기 운요성 및 개선에 기여
  • 한국 : 자산운용활성화를 통해 퇴직연금자산의 고질적인 문제점으로 꼽히는 낮은 수익률을 높이기 위해 도입 결정
  • 적격 상품군 : 자동으로 자산을 배분하거나 주기적으로 투자대상을 조정하는 상품 예상
타깃데이트 펀드(TDF) 특정 목표시점 기준 자산 배분 자동 조정
밸런스 펀드 다양한 자산(주식, 채권..)에 분산 투자, 시장 상황에 따라 정기적으로 자산 비중을 조정
인프라(SOC) 펀드 사회간접자본(도로, 철도, 발전소 등) 프로젝트에 투자

 

 

서비스형 뱅킹(Banking as a Service; BaaS)

은행 등의 금융사가 구축한 API를 비금융사등 제 3자에게 개방해 혁신적인 금융상품을 개발.출시하는 형태의 금융서비스

  • 금융사의 API를 이용하는 대가로 수수료 지불
  • 은행에서 제공하던 서비스를 하나의 솔루션처럼 만들어서 은행이 아닌 주체가 이용할 수 있게 하는 것
  • 금융사 : 신규 고객 데이터 확보, 수수료 등의 수익원 창출 기대 가능
  • 비금융사 : 규제를 피하면서도 금융 라이선스 획득을 위해 필요한 인프라 구축 비용을 들이지 않고 고객에게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기업 가치 🆙

 

서비타이제이션 (Servitization)

서비스화. 소비자 만족 및 핵심역량 강화를 통한 지속적인 경쟁력 확보를 위해 제품과 서비스를 융합시킨 새로운 형태의 비즈니스 유형

  • 제품의 서비스화 (Product Servitization)
    • ICT 발전 + 산업간 융복합 => 제조업의 서비스화 
    • 렌탈 정수기
  • 서비스의 제품화 (Service Productization)
    • 서비스 강화를 위해 제품을 부가하거나 자동화해 서비스를 대량 생산하는 제조업화를 추구하는 형태
    • 키오스크

 

세컨더리 보이콧 (Secondary Boycott)

제재국과 거래하는 제3국의 기업, 은행, 정부에 대해서도 거래를 중단하는 것, 간접적인 압박 강화

  • 제재의 효과를 극대화 하는 것이 목적으로, 제재 대상국과 직접 관련이 없는 기업과 국가에도 영향을 미쳐 압박을 가함
  • 1차 보이콧보다 더욱 강력한 경제적 제재 도구로 활용됨
  • 사례
    • 미국의 대이란 제재 : 2010년 포괄적 이란제재법(CISADA)를 통해 이란과 거래하는 제3국 기업에도 제재와 압박
    • 북한 제재 : 2017년 미국은 북한과의 거래를 지원하는 중국 은행들을 대상으로 세컨더리 보이콧을 시행해 북한의 외화 조달 차단
    • 중동 사례 : 1970년대 아랍국가들은 이스라엘과 거래하는 다른 국가의 기업에까지 제재를 가하며 보이콧 시행
  • 1차 보이콧(Primary Boycott) :  직접적인 거래 중단, 특정 개인, 기업, 국가등과의 거래를 중단하는 것

 

셀피노믹스 (Selfinomics)

Self(자신) + Ecomomics(경제학)

유튜브, 인스타그램 등의 온라인에서 활동하며 개인 콘텐츠를 만드는 인플루언서 또는 그들이 벌이는 독립적이고 자주적인 경제활동

  • 기업들도 유튜브, SNS 등에서 핫한 사람들을 통해 제품 광고나 판매가 이루어지는 경우 多 ➡️ 셀피노믹스 시장의 성장 추세 예측 가능
  • but, 부작용s : 조회수나 구독자수 늘리기 위한 과열 경쟁, 부적절한 콘텐츠, 가짜뉴스 확산...

 

솅겐조약 (Schengen Agreement)

EU 회원국 간 무비자 통행을 규정한 국경 개방 조약 (🌳룩셈부르크의 작은 마을 솅겐에서 처음 체결된 협약)

  • 솅겐조약 가입국 : 같은 출입국 관리 정책 사용, 국가간 제약없는 이동 가능, 세관신고도 안함!
  • 국경 없는 유럽 구현 ➡️ 여행, 무역, 경제활동 활성화
  • 외부 국경에 대한 통제는 여전히 유지되며, 단기 방문 시 솅겐 비자가 필요할 수도..
  • 대부분은 EU 회원국이지만, 일부는 비회원국임에도 솅겐 협정에 따라 참여하고 있음
    • 2024 솅겐 가입국
      • EU 회원국 : 오스트리아, 벨기에, 불가리아, 크로아티아, 체코, 덴마크, 에스토니아, 핀란드, 프랑스, 독일, 그리스, 헝가리, 이탈리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룩셈부르크, 몰타, 네덜란드, 폴란드, 포르투갈, 루마니아,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 스페인, 스웨덴
      • EU 비회원국 : 아이슬란드, 노르웨이, 스위스, 리히텐슈타인
    • 불가리아, 루마니아 : 2024년 3월 31일부터 항공과 해양 국경에서의 검문을 폐지하며 솅겐 규정을 적용하기 시작
    • 모나코, 산마리노, 바티칸 시국 (비EU국가): 솅겐 협정에 공식 가입하지 않았지만, 솅겐 구역과 개방된 국경 유지 중

 

스트리밍 쇼퍼 (Streaming Shopper)

기존의 텍스트보다 동영상 및 이미지를 소통의 도구로 선호하는 소비자, 이를 중심으로 V-커머스 성장중

 

 

승차 공유 서비스 (Ridesharing Service)

음 Uber, Grab, 카풀..

 

 

실감세대

소비에 있어서 오감을 만족시키는 콘텐츠와 제품을 선호하는 밀레니얼 세대와 Z세대(MZ)

  • 평면적 디지털 경험보다 현실 같은 몰입형 체험에 가치를 두고, 이색적인 경험에 적극 투자하는 경향
  • 마케팅, 소비트렌드에도 영향(싱어롱 영화관, 팝업 스토어, ... )

 

조모증후군 (JOMO Syndrome)

Joy Of Missing Out 잊히는 즐거움

사회로부터 고립되어 혼자만의 시간을 보내면서 느낄 수 있는 긍정적인 감정

  • 다른 사람들이 즐기는 일에 참여하지 않으면서 스트레스를 줄이고 혼자 보내는 시간을 소중히하는 사람들이 증가하는 현상
  • 조모족은 SNS를 삭제하고(내가 조모족인가?! 했지만 아니었다), 온라인상에서 맺어지거나 지속되는 관계에 의미를 두지 않음

 

칵테일 위기 (Cocktail of Risk)

동시다발적으로 여러 악재가 동시에 일어나는 상황 (경제 용어)

  • 다양한 술을 혼합해 마시는 칵테일의 특성 반영
  • 2016.01. 조지 오스본 전 영국 재무장관이 신년 기자회견에서 글로벌 경제상황을 우려하면서 사용 후 확산

 

퍼스트 펭귄

불확실하고 위험한 상황에서 가장 먼저 용기내어 도전함으로써 다른 이들로 하여금 참여할 수 있게 만드는 '선구자'

  • 용감한 펭귄

 

펭귄효과

상품 구매를 망설이다가 남들이 구매하기 시작하면 덩달아 구매를 결심하는 현상

  • 한 마리가 물속으로 뛰어들면 다른 펭귄들도 따라 들어가는 펭귄처럼

 

펀 세이빙 (Fun Saving)

핀테크 업체들이 20~30대를 노려 가입 부담은 낮추고 게임 등 재미있는 방식으로 흥미를 유도해 저축을 할 수 있도록 돕는 금융상품

  • 카카오뱅크 '26주 적금', 한달적금 집지으면서 재밌게 참여했다
  • KEB 하나 은행 '오늘은 얼마니?' : 저축을 잊지 않게 도와줌
  • KB 국민 은행 'KB SMART★폰 적금' : 이용자가 습관적으로 지출하던 패턴을 파악해 앱에서 관련 아이콘을 누르면 해당 금액이 통장에 바로 저금되는 방식
  • Toss 굴비적금 : 돈을 모을 수록 식탁에 반찬이 늘어남

 

 

풍선효과

풍선의 한쪽을 누르면 다른 쪽이 튀어나오는 것 처럼, 정부의 시책이 일시적인 미봉책을 내놓는 것을 빗댄 용어

 

 

프라이휠 효과 (Flywheel Effect)

저비용 구조를 주요 동력으로 한 경영전략, 저비용 구조와 더 낮은 가격으로 트래픽. 판매자. 상품군을 늘리는 선순환을 만든다는 것(성장 모멘텀 쌓아 지속적인 성장)

  • 제프 베조스(아마존 창업자, 최고경영자)가 제시한 성장원리, 사업모델
  • flywheel : 처음에는 추진력이 필요하지만 한 번 가속도가 붙으면 알아서 돌아감

 

환헤지(Foreign Exchange Hedge)

hedge : 방지책

해외통화를 이용하여 거래를 할 때 환율 변동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환위험을 회피하기 위한 목적으로 환율을 미리 고정해 두는 거래 방식

  • 주로 수출입 기업이나 해외 투자를 하는 기관이 환율 변동으로 인한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활용
  • 예시
    • 선물환 계약 : 미리 정한 환율로 미래의 외환 거래 약속
    • 통화 옵션 : 특정 환율에 따라 외화를 사고 팔 수 있는 권리
    • 스왑(swap) : 두 통화를 일정 기간 교환 후 원래대로 돌려놓는 거래

 

체리피킹 (Cherry Picking)

고객이 기업의 특정 서비스나 브랜드 혹은 제품만을 골라 구매하거나, 가치에 비해 과도하게 하락한 기업의 주식이나 상품을 골라 투자할 때

  • 🍒 체리나무에서 잘 익은 체리만 따고, 나머지 체리는 건드리지 않는 것 처럼

 

예대율 (Loan-Deposit Ratio)

은행이 예금 대비 대출을 얼마나 운용하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 금융행정상 또는 은행경영상 중요시 되는 비율

예대율 = (총 대출액 / 총 예금액) * 100
  • 은행의 예금잔액에 대한 대출금잔액의 비율 
  • 대출금을 예수금으로 나눈 비율

예대율이 높다면❓ 예금에 비해 더 많은 대출을 운용하고 있음 == 수익성을 높이지만 유동성 위험도 증가

 

오버슈팅 (Overshooting)

경제에 어떤 충격이 가해졌을 때 상품이나 금융자산의 시장가격이 예상을 벗어나 일시적으로 폭등 또는 폭락하였다가 장기균형 수준으로 수렴해가는 현상

  • 주로 정책 변화, 시장 충격, 기대 변동에 의해 발생
  • 시장의 불안정성을 나타내며 투자자들이 정보에 과잉 반응하는 경우에 흔히 발생
  • 예 : 금리 인상 소식으로 환율이 단기적으로 급등했다가 시간이 지나면서 균형 수준으로 되돌아오는 과정

 

스캠코인 (Scam Coin)

Scam '사기' + Coin

사실과 다른 내용으로 투자자를 속이기 위해 만들어진 가상화폐

  • 실체가 없는 스캠코인을 발행해 상장한 뒤 허위공시 및 시세조종 등을 통해 자금을 편취하기도 함
  • 미신고 거래소나 친분을 앞세워 투자자들의 신뢰를 높인 뒤 투자금만 챙겨 사라지는 방식 多

 

베블런 효과 (Veblen Effect)

값비싼 귀금속류나 고가의 가전제품, 고급 자동차 등의 가격이 오르는 데도 수요가 증가하는 현상

아이고 ~ 배불러 배부른데 자꾸 산다~

 

바이플레이션 (Biflation)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이 동시에 일어나는 경제현상 == 믹스플레이션

  • 특정 상품의 가격이 오르면서도, 다른 부문의 자산 가격이 하락하는 상황
    •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 중국의 인플레이션과 미국의 디플레이션이 동시에 발생
      • 중국 : 고성장과 높은 수요로 인해 필수 원자재 가격 급등, 원자재 수입에 의존하면서 발생한 현상 + 내수 소비 증가와 정부의 대규모 인프라 프로젝트가 가격 상승 도모
      • 미국 : 부동산 시장 붕괴와 금융위기로 자산 가격이 급락하고 소비와 투자가 위축 + 대규모 실업과 신용 경색으로 인해 수요가 감소하며 소비재와 부동산 가격이 하락
  • 원인
    • 경기 침체 : 경기 침체 상황에서 필수재에 대한 수요는 유지되기 때문에 가격이 오르는 반면, 비필수 소비재나 부동산은 수요가 줄어 가격이 하락하는 경우
    • 통화 정책의 영향 : 중앙은행이 경기 부양을 위해 통화 공급을 늘릴 때, 특정 자산에 지중되면 해당 부문에서는 인플레이션이 나타나고, 다른 자산은 디플레이션의 영향 받기도
    • 글로벌 자본 및 무역 흐름 차이 : 지역 간 물가 흐름 차이

 

 

Stagflaction은 뭐지? 라고 gpt에게 물어봤다

두 개념은 경제 불균형을 나타내지만, 그 발생 메커니즘과 결과는 다릅니다.

 

Stagflation

경기침체(Stagnation) + 물가 상승(Inflation)이 동시에 발생하는 현상

  • 일반적으로 경기 침체와 인플레이션은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나타나지만, stagflation은 이례적인 상황에서 두 현상이 동시에 발생해 경제에 큰 혼란을 초래
  • 특징
    • 경제 성장률이 낮거나 마이너스(경기 침체)
    • 실업률이 증가하며 일자리 부족
    • 물가는 계속 상승
    • 전통적인 경제 이론과 달리, 물가가 오르면서도 경기가 침체되는 상황이 발생
    • 정부의 딜레마
      • 금리 인상 : 물가를 잡기 위해 금리를 올리면, 경기는 더 침체
      • 금리 인하 : 경기를 부양하기 위해 금리를 내리면 인플레이션 악화
  • 1970년대 오일 쇼크 이후 미국과 유럽에서 발생 : 원유 가격 급등으로 인플레이션이 발생했지만, 경기는 침체에 빠짐
    • 오일쇼크 : 석유 수출국기구(OPEC)가 원유 공급을 제한하며 원유 가격 급등 
    • 오일쇼크는 stagflation과 에너지 안보 문제의 중요성을 부각시킨 대표적인 세계 불확실성을 보여준 사건 (에너지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대체 에너지와 에너지 절약 정책을 강화하게 됨)

 

Stagflaction vs. Biflation

  Stagflation Biflation
발생 상황 경기 침체, 물가 상승 동시 발생 일부 부문은 인플레이션, 일부는 디플레이션
주요 원인 원자재 가격 상승, 공급 충격 원자재 수요 증가와 자산 시장 침체
영향 실업증가, 경제 성장 둔화 생활비 부담 증가, 자산 가치 하락
사례 1970년대 오일쇼크 2008년 금융위기

 

 

마냐냐 경제 (Manana Economy)

경제 전문가들이 경기 회복을 지나치게 낙관적으로 전망하는 태도를 비판하는 용어

  • 마냐냐 manana : 스페인어로 '내일'을 뜻하는 말
  • 실질적인 근거 없이 막연히 미래에 경제가 나아질 것이라 기대하는 경향을 경고
  • 2003년 이라크 전쟁 이후 미국
    • 조지 부시 대통령과 앨런 그린스펀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 의장이 경기 회복을을 낙관하며 발표한 여러 견해들을 비판하며 등장
    • 이러한 태도는 투자와 소비를 유도하기 위한 의도적 낙관론에 불과하다는 지적과 함께 사용되기 시작
    • 뭐라고 발언했길래 비판을 받나 궁금했는데 찾지 못했다...

좀비 경제 (Zombie Economy)

경제 부양 정책에 대해 가계와 기업이 아무런 반응을 보이지 않는 상황

  • 일본 정부가 경기를 부양하기 위한 정책을 내놓아도, 기업과 가계가 반응을 보이지 않아 좀비처럼 일본의 경제 정책이 있는 듯~ 없는 듯~ 불안하다는 뜻에서 국제 금융 전문가들이 붙인 이름

 

 

긱 경제 (Gig Economy)

필요에 따라 임시로 직원을 고용하여 일을 맡기는 고용 형태

  • IT 플랫폼에서 노동력 거래 증가 : 회사에서는 상황에 맞게 대응할 수 있는 프리랜서 고용
  • 회사에 얽매이고 싶지 않아~ : 긱 경제 활성화

 

골디락스 경제 (Goldilocks Economy)

인플레이션을 우려할 만한 경기 과열이나 침체로 인한 어려움을 걱정할 필요가 없는 최적 상태의 건실한 경제

  • 높은 성장을 이루고 있음에도 물가가 상승하지 않는 이상적인 경제 상태를 유지하려는 노력과 균형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용어
  • 일시적인 경우가 많고 언제든지 외부 충격으로 무너질 수 있는 위험이 있음
  • 사례
    • 1990년대 미국 : 저성장과 저물가 상태를 유지하면서도 실업률이 낮아, 이상적인 골디락스 경제로 평가받음
    • 2010년대 후반 일부 국가들 : 유럽과 미국의 중앙은행이 경기 부양을 위해 금리를 낮게 유지하면서 경제 성장과 안정된 물가를 달성했을때, 골디락스 경제로 평가
  • 🐻 영국의 전래동화 "골디락스와 세 마리 곰(Goldilocks and the Three Bears)"에서 유래
    • 주인공 골디락스는 곰 가족의 집에서 "너무 뜨겁지도 않고, 너무 차갑지도 않은 죽"을 선택
    • 균형과 적정 상태를 상징하는 개념 == 적당한 상태
더보기
🌡️ 경제에서 죽의 온도

너무 뜨겁지 않다 : 과도한 경제 성장과 인플레이션을 피함
너무 차갑지 않다 : 경기 침체와 실업 증가를 방지함

 

RRP (Recovery and Resolution Plan)

회생정리계획, 금융안정위원회(FSB)가 글로벌 금융위기의 심각성에 대비하도록 제안한 제도

  • 금융회사가 도산할 위기에 대비해, 자체 정상화를 할 수 있는 방안을 사전에 만들도록 한 제도
  • 필요성
    • 글로벌 금융위기(2008년) 이후 대형 금융기관들이 무너질 경우, 시스템 리스크가 전체 경제에 큰 타격을 줄 수 있다는 문제가 부각됨
    • "대마불사(Too Big to Fail)"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 대형 은행이나 금융기관의 무질서한 파산을 예방하기 위한 핵심 도구
  • 주요 목표
    1. 금융 시스템 안정성 유지 : 대형 금융기관의 실패가 경제 전반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2. 예금자 보호 : + 금융 시스템에 대한 신뢰 유지
    3. 납세자 부담 최소화 : 공적 자금을 사용하지 않고 금융기관 내부의 자원을 활용해 문제를 해결
    4. 질서있는 청산 : 파산 또는 정리가 필요한 경우, 경제에 충격을 최소화하며 원활하게 절차를 진행
  • 적용 사례
    • 유럽 : 2014년 EU "은행회복 및 정리지침(BRRD, Bank Recovery and Resolution Directive)" 도입으로 회원국 금융기관에 RRP 수립을 의무화
    • 미국 : "도드-프랭크법(Dodd-Frank Act)"에 따라 대형 금융기관들이 매년 회복 및 정리 계획을 제출하도록 규정

 

 

다크 넛지 (Dark Nudge)

Nudge(옆구리를 슬쩍 찌른다) + Dark

팔꿈치로 툭 옆구리를 찌르는 듯 비합리적 구매를 유도하는 상술

  • 처음 광고와 달리 부가적 비용 요구, 자동으로 과금하는 상술...
  • 소비자는 상술에 속았지만 귀찮아서 불만을 제기하지 않아 불필요한 비용 지출을 경험

 

 

데카콘 기업 (Decacorn)

기업 가치가 100억 달러 이상이 된 신생벤처기업

  • 머리에 10개의 뿔이 달린 상상속의 동물, 데카콘. 유니콘 확장 버전(Deca : 10배 + 유니콘)

🦄  성공을 거둔 스타트업을 일컫는 용어

  유니콘 기업 데카콘 기업 헥토콘 기업 (eg. 스페이스 X)
증권시장에 상장하기 전, 기업 가치 10억 달러 유니콘 * 10배(Deca) = 100억 달러 유니콘 * 100배(Hecto) = 1천억 달러